전체 글 602

안면지맥 1구간(안면대교~안면고등학교) 19.5km

안면지맥이란? 충청남도 태안군 안면읍과 고남면을 가로질러 이어지는 도상거리 약 31.2km의 산줄기로 태안군 안면읍 창기리의 안면대교에서 시작하여 태안군 고남면 고남리의 영목항에서 그 맥을 황해에 넘겨주고 있다. 이 산줄기를 따라가면 쳐진골망산(75.3m), 국사봉(107.1m), 당산(97m), 키조개봉 (73m), 탕건봉(92.7m), 새조개봉(92.4m), 바지락봉(63m), 모시조개봉(58.2m) 등을 만날 수가 있고 이 산줄기의 동쪽에는 천수만이 있으며 서쪽에는 서해바다가 있다. 안면대교 연육교 로터리 날짜:2022년 02월 12일(토요일) 누구랑: 마당쇠 홀로 날씨:구름 약간 맑은 날씨, 최저기온 영하 2도, 최고기온 영상 8도 산행경비합계액:28,200원 *편의점 9,400원 *부름택시(안면..

안면지맥 개념과 지도

안면지맥(安眠枝脈)은 ? 안면지맥(安眠枝脈)은 충남 태안군 안면대교에서 시작해 치진골망산(△75.8), 國師峰(△107.2m), 당산(97m), 안면읍을 지나 태안군 고남면 영목선착장에서 그 맥을 다하는 도상거리 약 33.52km에 달하는 섬 산줄기로 동쪽은 천수만,서쪽은 황해가 된다. 안면도는 본래 곶(串)인 반도로서 육지인 남면과 연육되어 있었는데, 삼남지역의 세곡(稅穀) 조운(漕運)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조선조의 인조 때에 지금의 안면읍 창기리와 남면의 신온리 사이를 절단하므로써,이 때부터 안면곶이 섬이 되어 안면도(安眠島)라 호칭하게 된 것이다. 안면지맥 신산경표 개념도 안면지맥 구간지도 안면지맥 구간지도 2

영인지맥 2구간(음봉배수지~공세리성당) 22.7km

영인지맥(靈仁 枝脈)은? 영인지맥은 호서정맥이 안성 칠장산에서 한남정맥과 이별하고 서남진 하여 칠현산, 덕성산, 서운산, 성거산(579.1m)을 넘어 갈마고개에 이르기 200m 전 401.5m 에서 서쪽으로 가지를 쳐 경부고속도로와 1번국도를 건너서고 천안시 북부시가지를 지나 노태산(141m), 천안 제3,4 공단을 지난다. 아산땅으로 들어선후 용와산(238.3m), 연암산(292.7m), 둔덕산(225m), 국사봉(222.5m), 금산을 넘어 영인산(363.9m)을 일군 후 입암산(207.4m)을 굽어 돌아 아산시 인주면 공세리에서 서해에 발을 담그며 그 운을 다한다. 도상거리 44.8km에 이르고 이 산줄기 북쪽의 물줄기는 안성천으로 흘러들고 남쪽의 물은 곡교천으로 흘러들어 삽교천에 합류한 후 바로 ..

영인지맥 1구간(문암저수지~음봉배수지) 28.23km

영인지맥(靈仁 枝脈)은? 영인지맥은 호서정맥이 안성 칠장산에서 한남정맥과 이별하고 서남진 하여 칠현산, 덕성산, 서운산, 성거산(579.1m)을 넘어 갈마고개에 이르기 200m 전 401.5m 에서 서쪽으로 가지를 쳐 경부고속도로와 1번국도를 건너서고 천안시 북부시가지를 지나 노태산(141m), 천안 제3,4 공단을 지난다. 아산땅으로 들어선후 용와산(238.3m), 연암산(292.7m), 둔덕산(225m), 국사봉(222.5m), 금산을 넘어 영인산(363.9m)을 일군 후 입암산(207.4m)을 굽어 돌아 아산시 인주면 공세리에서 서해에 발을 담그며 그 운을 다한다. 도상거리 44.8km에 이르고 이 산줄기 북쪽의 물줄기는 안성천으로 흘러들고 남쪽의 물은 곡교천으로 흘러들어 삽교천에 합류한 후 바로 ..

영인지맥 개념과 지도

영인지맥(靈仁 枝脈)은? 영인지맥은 호서정맥이 안성 칠장산에서 한남정맥과 이별하고 서남진하여 칠현산, 덕성산,서운산, 성거산(579.1m)을 넘어 갈마고개에 이르기 200m전 401.5m 에서 서쪽으로 가지를 쳐 경부고속도로와 1번국도를 건너서고 천안시 북부시가지를 지나 노태산(141m),천안 제3,4공단을 지난다. 아산땅으로 들어선후 용와산(238.3m),연암산(292.7m),둔덕산(225m),국사봉(222.5m), 금산을 넘어 영인산(363.9m)을 일군후 입암산(207.4m)을 굽어돌아 아산시 인주면 공세리에서 서해에 발을 담그며 그 운을 다한다. 도상거리 44.8km에 이르고 이 산줄기 북쪽의 물줄기는 안성천으로 흘러들고 남쪽의 물은 곡교천으로 흘러들어 삽교천에 합류한후 바로 서해로 들어간다. #..

장암지맥 2구간(백두개재~대치미등대) 15.86km

장암지맥(場岩枝脈)은? 영산기맥의 장암산(場岩山. 484m)에서 서쪽으로 분기해서 오동산(351m), 우리 봉(185m), 노인봉(255m). 서금산(90m), 백두기재, 수리봉(354.4m), 갓봉(344m), 봉화령(373.8m)을 지나 영광군 백수읍 대신리에서 돔배섬과 구암천을 바라보며 서해바다에 그 맥을 다하는 도상거리 36.3km 되는 산줄기로 와탄천의 우측 분수령이 된다. 구간거리 영산기맥 장암산 우리 봉(185m) 4.2/4.2 노인봉(255m) 6.0/10.2 물퇴봉(213m→0.4k) 0.5/10.7 북종산(111.9m→1.3k) 3.5/14.2 복호산(82m→0.8k) 0.6/14.8 서금산(90m) 0.9/15.7 백두개재 7.0/22.7 수리봉(354.4m) 2.8/25.5 대절산(..

장암지맥 1구간(사동고개~백두개재) 27.5km

장암지맥(場岩枝脈)은? 영산기맥의 장암산(場岩山. 484m)에서 서쪽으로 분기해서 오동산(351m), 우리 봉(185m), 노인봉(255m). 서금산(90m), 백두기재, 수리봉(354.4m), 갓봉(344m), 봉화령(373.8m)을 지나 영광군 백수읍 대신리에서 돔배섬과 구암천을 바라보며 서해바다에 그 맥을 다하는 도상거리 36.3km 되는 산줄기로 와탄천의 우측 분수령이 된다. 구간거리 영산기맥 장암산 우리 봉(185m) 4.2/4.2 노인봉(255m) 6.0/10.2 물퇴봉(213m→0.4k) 0.5/10.7 북종산(111.9m→1.3k) 3.5/14.2 복호산(82m→0.8k) 0.6/14.8 서금산(90m) 0.9/15.7 백두개재 7.0/22.7 수리봉(354.4m) 2.8/25.5 대절산(..

장암지맥 개념과 지도

장암지맥(場岩枝脈)은 ? 영산기맥의 장암산(場岩山. 484m) 에서 서쪽으로 분기해서 오동산(351m), 우리봉(185m), 노인봉(255m). 서금산(90m), 백두기재, 수리봉(354.4m), 갓봉(344m), 봉화령(373.8m)을 지나 영광군 백수읍 대신리에서 돔배섬과 구암천을 바라보며 서해바다에 그 맥을 다하는 도상거리 36.3km되는 산줄기로 와탄천의 우측 분수령이 된다. 구간거리 영산기맥 장암산 우리봉(185m) 4.2/4.2 노인봉(255m) 6.0/10.2 물퇴봉(213m→0.4k) 0.5/10.7 북종산(111.9m→1.3k) 3.5/14.2 복호산(82m→0.8k) 0.6/14.8 서금산(90m) 0.9/15.7 백두개재 7.0/22.7 수리봉(354.4m) 2.8/25.5 대절산(2..

봉대지맥 2구간(천장삼거리~점암선착장) 22.2km

봉대지맥(峰台枝脈)은? 봉대지맥(峰台枝脈)은 영산기맥 감방산(258.9m) 남쪽 3.9km 지점인 무안읍 매곡리 수반마을 서쪽언덕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현경면,해제면을 지나며 봉대산(83.8m), 검무산( 104m →0.3km), 이성산(124m→0.7km),동산(64m),봉대산(197m),천마산(83m), 독산(56m). 대월산(106.9m)을 일구고 신안군 지도 앞에서 끝나는 36.3km 되는 산줄기인데 섬이었던 智島가 지금은 연육교와 방조제와 갯벌로 육지와 연결이 됐고 실질적으로 연육교와 지맥의 끝에 있는 제방사이는 담수호가 돼있어 지도의 점암선착장까지 16km를 연장하여 지맥의 끝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분기점을 무안읍 매곡리 수반마을로 시작하였으나 신상경표의 기준점으로는 매곡리 평림마을 고샅 ..

봉대지맥 1구간(평림마을~천장교차로) 36.5km

봉대지맥(峰台枝脈)은? 봉대지맥(峰台枝脈)은 영산기맥 감방산(258.9m) 남쪽 3.9km 지점인 무안읍 매곡리 수반마을 서쪽언덕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현경면,해제면을 지나며 봉대산(83.8m), 검무산( 104m →0.3km), 이성산(124m→0.7km),동산(64m),봉대산(197m),천마산(83m), 독산(56m). 대월산(106.9m)을 일구고 신안군 지도 앞에서 끝나는 36.3km 되는 산줄기인데 섬이었던 智島가 지금은 연육교와 방조제와 갯벌로 육지와 연결이 됐고 실질적으로 연육교와 지맥의 끝에 있는 제방사이는 담수호가 돼있어 지도의 점암선착장까지 16km를 연장하여 지맥의 끝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분기점을 무안읍 매곡리 수반마을로 시작하였으나 신상경표의 기준점으로는 매곡리 평림마을 고샅 ..